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6 중위소득(기준 중위소득) 한눈에 정리

by 메모리11 2025. 8. 15.

2026년 차상위계층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는 매년 기준중위소득을 새롭게 고시하며, 이에 따라 차상위계층의 선정기준과 신청 자격이 달라집니다.

 

특히 2026년에는 1인 가구부터 7인 이상 가구까지 세부 금액이 조정되어 지원 대상 여부를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표를 포함해 차상위계층 신청 방법, 필요한 서류, 그리고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정리했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신청 가능 여부를 한 번에 판단하고, 지원 절차를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정확히 뭐길래?

간단히 말해 국민 가구소득을 순서대로 세웠을 때 딱 가운데(50%)의 값입니다.

 

 

 

평균보다 현실 생활을 더 잘 반영한다는 평가를 받아서, 각종 복지 제도의 수급 기준선으로 쓰입니다.

 

매년 여름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보건복지부가 고시하죠.

 

핵심은 “내 가구의 월 소득이 기준중위소득의 몇 %인가”—이 비율로 생계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의료급여, 에너지바우처 등 신청 가능 여부를 가릅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고시 확인하러 가기

 

 

2025 ↔ 2026 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아래 표는 2025년과 2026년가구원 수별 기준중위소득 인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구원 수 2025년 2026년 인상률
1인 가구 2,392,013원 2,564,238원 +7.20%
2인 가구 3,932,658원 4,199,292원
3인 가구 5,025,353원 5,359,036원
4인 가구 6,097,773원 6,494,738원 +6.51%
5인 가구 7,108,192원 7,556,719원
6인 가구 8,064,805원 8,555,952원

※ 월 기준 금액. 보건복지부 고시 자료를 바탕으로 정리.

 

 

2026 기준 중위소득 대상자 확인방법

기준 중위소득 대상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월 소득 파악: 세전/세후 혼동 없이 한 기준으로 정리(가능하면 소득금액증명 활용).

   - 가구원 수 확정: 주민등록에 등재된 인원 기준이 기본(제도별 예외는 공고 확인).

   - 비율 계산: 내 가구 월 소득 ÷ (해당 가구원 수의 기준중위소득)

   - 제도별 컷라인 대조: 예) 생계급여 30% 이하, 주거급여 46% 이하 등.

   - 중복 신청 가능성 점검: 에너지바우처·교육급여 등은 동시 활용이 되는지 체크.

 

이렇게만 해도 “신청 가능/불가” 1차 판단이 됩니다.

 

모호하면 주민센터나 복지로 상담이 가장 빨라요.

 

 

 

기준중위소득, 이렇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준중위소득은 단순히 복지 지원 자격을 판별하는 수치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정부·지자체 지원사업의 문을 여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보장제도, 차상위계층 지원, 긴급복지지원 등 소득기준이 필요한 복지제도에서 기본적인 판단 기준으로 쓰이며, 교육비·양육비·주거급여·의료비 지원 등 생활 전반의 공적 지원 혜택을 받을 때 필수적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에너지바우처, 문화누리카드, 가사·간병 방문지원 서비스, 국가장학금 신청 시에도 기준중위소득이 일정 비율 이하인지를 증명해야 합니다.

 

이처럼 기준중위소득은 개인의 소득수준을 공식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이자, 다양한 사회안전망 제도의 출발점이 되는 만큼 정확한 확인과 이해가 필요합니다.

 

정리하며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내 가구의 복지 자격을 가르는 출발점입니다.

 

위 표에서 가구원 수별 금액만 정확히 기억해도, 올해 어떤 제도부터 챙겨야 할지 금방 보이실 거예요.